CMS 용어 정리

‘CMS' 란, Contents Management System, 즉, ‘콘텐츠 관리 시스템'입니다.

여기서 말하는 ‘콘텐츠' 란, 전자문서화 돼 있는 데이터 파일을 뜻합니다. 워드 파일, 사진 이미지, 동영상 파일, 음악 파일 등등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전자파일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. 그렇다면, ‘콘텐츠' 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일까요? 전자결재자료, 시스템 로그, 이메일, 메신저 문자 등등 DB에 기록되지만, 단독으로 존재하는 파일이 아닌 데이터들이 이에 속합니다.

CMS의 종류

  • ECM (Enterprise Contents Management) ‘ECM' 은 다른 분류를 포함하는 대분류에 해당합니다. ‘ECM' 은 말 그대로 기업 네트워크에서 활용되는 대부분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써, 전자문서관리 (EDMS), WCM, DAM 등을 모두 포함하기 때문이죠.

  • WCM 혹은 WCMS (Web Contents Management)

    ‘WCM' 은 웹용 콘텐츠를 관리하는 솔루션으로써, 웹사이트를 위한 소스코드부터, 이미지, 간단한 동영상 등을 관리합니다. 대개의 경우엔 사용하지 않으나, 이미지, 동영상 등이 서비스의 목적이 된다거나, 웹에이전시와 같이, 소스코드의 버전 관리가 중요한 경우 종종 사용합니다.

  • DAM (Digital Asset Management)

    ‘DAM' 은 특별히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특화된 CMS 입니다. 문서 파일의 관리는 축소되거나 배제돼 있고, 동영상, 음원, 이미지 등의 특화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고, 멀티미디어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계가 가능한 솔루션입니다. 예컨대 VOD, AOD 와 같은 솔루션의 CMS 가 이에 해당하죠.

  • MAM (Media Asset Management)

    ‘MAM' 은 ‘DAM' 의 일종으로써, 특히 방송시스템에 특화된 솔루션입니다. ‘DAM' 과 기본적인 기능이나 구성은 유사하지만, 방송용 고해상도/고용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다룬다는 점에서 구별됩니다.

그 외에, ‘LCMS (Learning CMS, 이러닝 시스템의 강의록, 교재, 동영상 등을 별도 관리하는 CMS)' 와 같이 특정 분야에서 고유의 목적으로 설계된 CMS들도 다수 존재합니다.

‘MAM' 솔루션은 ‘CMS' 계열의 제품군에 속합니다

MAM (media asset management) 정의

"아날로그 콘텐츠의 디지털화를 포함하여, 디지털 콘텐츠의 등록, 제작/편집, 아카이브, 검색, 서비스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디지털 자산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" 입니다.

여기서 ‘미디어 자산(media asset)' 이란 뜻은, "방송시스템에서 다루는 영상 데이터를, 일반 IT 시스템의 텍스트 정보와 마찬가지로, 중요한 기업 자산으로 인식하고 관리한다" 는 의미로써, 문자 그대로, 방송시스템을 위한 전용 CMS 라고 할 수 있습니다.

‘MAM'이 다른 ‘CMS'들과 특징적으로 다른 점을 꼽자면,

우선 첫째, 방송용 콘텐츠를 다룬다는 것입니다. 방송용이란 뜻은, 지상파 방송, 즉 SD 혹은 HD 급의 영상물을 취급한다는 의미죠. 콘텐츠 자체가 다른 CMS 에 비해서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대용량 파일이라는 점에서 ‘MAM' 은 다른 어떤 ‘CMS' 보다도 대형 시스템을 동반합니다. 실제 사례를 들자면, 50Mbps 급 방송영상 1시간은 약 25GB, 디지털 상영관용 영화 파일은 약 2TB 에 달합니다. 더군다나, ‘MAM' 은 이런 영상 콘텐츠가 보조적 목적이 아니라, 그 자체가 주가 되는 자산의 가치를 갖습니다. 따라서, 촬영된 원본, 편집에 사용되는 가편집본, 서비스를 위한 최종본 등이 모두 시스템에 보관되고, 관리를 해야 하는 대상입니다.